책소개
팀(Teams)을 넘어 놋(Knots)으로
이 책은 일과 학습의 방식이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역동적인 사회와 조직의 변화 상황에서 기존의 정적인 협력 방식인 ‘팀’이 아닌 유동적이며 유연한, 새로운 일과 학습의 협력 방식에 주목한다. 그리고 그 새로운 방식을 ‘놋(knot)’과 ‘놋워킹(knotworking)’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제3세대 활동이론인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모순의 개념을 하나의 활동에 국한시키지 않고 다른 활동들과의 관계로까지 확장한다. 이를 통해 집단 내의 공동체에서 상호작용하는 학습의 사회적 과정을 설명하고, 조직 또는 집단에서의 창조적 학습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
이 책은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설명보다는 다양한 실제 사례들을 통해 팀의 해체와 놋워킹의 출현,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지식 창출과 확장학습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이 일터에서 일하고 배우는 방식을 분석하는 데 핵심적인 분석틀이 될 수 있음을 밝힌다.
구체적으로 미국과 핀란드의 다양한 조직 환경에 속한 총 6개의 팀 사례에 관해 다룬다. 각 사례 연구는 구체적인 이론적 질문들에 초점을 두고 그에 따른 개념적 도구들을 채택하고 있다. 2장에서는 TV 방송 제작 팀을 대상으로 ‘왜 팀은 정체되어 있는가?’를 살펴보며, 핵심 개념으로 ‘방해’, ‘모순’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법률 재판 팀을 대상으로 ‘혁신 가능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며, 핵심 개념으로 ‘확장적 전환’, ‘조정’, ‘협동’, ‘소통’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의료 지원 팀을 대상으로 ‘신생 팀은 운영 방식을 어떻게 구성해 나가는가?’를 살펴보며, 핵심 개념으로 ‘두 층으로 나뉘는 팀의 역사’, ‘고정과 유동’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팀을 대상으로 ‘팀은 어떻게 업무 실행에 내재되어 있는 경계를 넘나드는가?’를 살펴보며, 핵심 개념으로 ‘동기부여의 차원’, ‘경계 넘나들기’를 제시한다. 6장에서는 산업 기계 팀을 대상으로 ‘팀의 지식 창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며, 핵심 개념으로 ‘확장 학습의 순환 과정’, ‘학습 행동’ 등을 제시한다. 7장에서는 이동통신 콜센터 팀을 대상으로 ‘팀에서의 사회자본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며, 핵심 개념으로 ‘인프라’, ‘사회자본 형성 주기’를 제시한다.
8장에서는 2~7장에서 분석한 팀 사례 연구 결과를 세 가지 논지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각 사례 연구들이 팀의 차원을 넘어서 업무 조직의 형태와 일터에서의 학습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9장에서는 행위 주체라는 핵심 개념에 초점을 두면서 유동적이고 분산된 협력적 조직 패턴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200자평
‘팀’은 일과 학습을 구조화하는 효율적이고 인간적인 방식으로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이 책은 미국과 핀란드에서 10년에 걸쳐 수행한 TV 방송 제작 팀, 법률 재판 팀, 의료 지원 팀, 초등학교 교사 팀, 산업 기계 팀, 이동통신 콜센터 팀의 사례 연구를 통해 팀이 역사적이고 보편타당한 협력 방식이 아님을 드러낸다.
팀은 쉼 없이 변하는 목표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유연한 ‘놋(knots)’ 형태로 점차 변모하고 있다. 이 책은 일과 학습의 방식이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팀의 해체와 변화, ‘놋’과 ‘놋워킹(knotworking)’의 출현, 지식 창출과 확장학습 사례를 생생하게 보여 준다.
지은이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성인교육 분야 교수다. 헬싱키대학교에 있는 활동과 개발, 학습에 관한 연구센터(Center for Research on Activity, Development and Learning, CRADLE)를 운영한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의 커뮤니케이션 분야 명예교수기도 하다. 확장학습 이론과 개발적 일 연구 방법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87년에 헬싱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90년부터 1995년까지 헬싱키대학교의 ‘비교인간인지연구소(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LCHC)’의 소장을 역임했다. 업무 활동과 조직 변화 및 학습 과정을 연구하는 틀로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Cognition and Communication at Work(편저, 1996),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편저, 1999), Between School and Work: New Perspectives on Transfer and Boundary Crossing(편저, 2003), Developmental Work Research: Expanding Activity Theory in Practice(2005) 등이 있다.
옮긴이
장원섭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소장이다.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The Role of Network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College to the World of Work”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책임연구원,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전문위원, 위스콘신대학교 방문 연구원, 일리노이대학교 방문 교수로 활동했으며, 현재 한국산업교육학회, 한국인력개발학회, 한국직업교육학회, 한국진로교육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육과 일, HRD, 성인교육 등이며, 특히 일터학습, 직업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성인인력개조론』(공저, 1997), 『교육과 일의 사회학』(1997), 『앤드라고지: 현실과 가능성』(공저, 1998), 『고학력 실업자 인력개발 정책』(공저, 2000), 『인적자원개발론』(역, 2003), 『일의 교육학』(2006), 『교육과 일』(공역, 2007), 『Theories, Policy,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in East Asia』(공저, 2010), 『인적자원개발: 이론과 실천』(2011), 『일터학습: 함께 배우기』(편저, 2012) 등이 있다.
구유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경희대학교 영어학과를 졸업하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영어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어교육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기업교육 프로그램과 기업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는 엑스퍼트컨설팅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이를 계기로 연세대학교 대학원의 인적자원개발(HRD)/일의 교육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에 진학했다. HRD, 성인교육 분야를 폭넓게 공부하고 있다.
차례
역자 해설
저자 서문
01 팀과 일의 변천
02 방송 제작 팀의 방해 관리와 숨기기
03 적과의 팀워크: 법정에서의 조정, 협동, 그리고 소통
04 의료 지원 팀의 대체와 혁신
05 교사 팀에서의 경계 넘나들기
06 제조업 작업 팀에서의 지식 창조
07 팀, 인프라, 그리고 사회자본
08 ‘쇠 우리’에서 바람을 타는 ‘그물망’으로
09 조직에서 유동적 놋워킹과 행위 주체
참고 문헌
찾아보기
추천글
이 책은 『Learning by Expanding』 발간 이후 사회과학자들이 학수고대하던 학문적 결과다. 엥게스트룀은 조직 상황에서 이뤄지는 팀워크에 대한 연구들을 학문적으로 통합해 냈다. 그는 경쟁하는 여러 연구와 이론의 계열들을 비판적이고 분명하게, 포괄적으로 다룬다. 또 자신이 오랫동안 수행한 연구의 결과를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이와 함께 미래의 연구에 대한 생각을 다양하게 자극한다. – 마이클 콜,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 풍부한 자료와 개념 분석, 감탄할 만한 연구다! – 마이크 보너, , 미국심리학회